내복자의 효능 효과
내복자의 기원: 무 Raphanus sativus Linnѐ (십자화과 Cruciferae)의 잘 익은 씨
1. 기억력 개선 및 항 불안 작용
- 내복자의 70% EtOH, 물 추출물을 실험동물에게 투여 시 50 mg/kg 투여 군에서 유의한 머무름 시간의 차이를 나타냈음. 따라서 내복자의 70% EtOH 및 물 추출물은 scopolamine으로 유도된 기억력 감퇴 동물 모델에게 기억력 개선 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2. 간보호 작용
- D-Galactosamine (GalN) 처치 시 H2O 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은 약 한 간보호 활성을 나타내었음
3. 기관지 천식 및 알러지성 비염에 대한 작용
- 내복자의 H2O 추출물 및 70% EtOH 추출물은 DNP-BSA 자극으로 활성 화된 마우스의 비만세포(BMMC)에서 히스타민 유리 억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음
- 내복자의 H2O 추출물 및 70% EtOH 추출물은 ConA 자극으로 활성화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IL-4 분비 억제 활성을 나타냄 - 내복자 대부분의 활성성분들은 ConA 자극으로 활성화된 마우스의 비장세 포에서 IFN-γ 분비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활성성분 중 β -D-(3,4-O-Disinapoyl) fructofuranosyl-α-D-(6-O-sinapoyl) glucopyranoside, Isorhamnetin 3,4’-di-O-β-D-glucoside, Isorhamnetin 3-O-β-D-glucoside-7-O-α-L-rhamnose는 IL-4와 IFN-γ 분비 억제 활성을나타냄
- 내복자의 70% EtOH 추출물은 OVA-유도 기관지 천식 마우스에서 혈청 내 난알부민-유도 IgE와 IL-4, IFN-γ 분비 억제 활성과 폐 조직 내 세기관 지 주변 염증세포 침윤과 기도폐쇄의 구조적 손상 및 술잔세포 증식에 따른 점액분비를 억제(100, 300 ㎎/㎏)함으로써 천식 개선효과가 나타남
응용: 복부창만, 트림, 위산과다, 설사 . 해수, 천식 등에 사용한다.
내복자(萊菔子)는 배추과에 속하는 무의 여문 씨를 말린 것으로서 나복자(蘿蔔子)라고도 합니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비경, 폐경, 위경에 작용하고, 소화를 돕고 담을 삭이며 기침을 멈추게하고, 소화장애, 식체, 가래가 있으면서 기침하는 데, 설사 등에 쓴다
1)학명 :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Makino
2)라틴명 : Raphani Semen
3)일반명 : 무
4)과명 : 십자화과(十字花科 : Brassicaceae/Cruciferae)
5)약재성상
이 약은 편압된 구형이고 길이 3mm 내외, 지름 2.5mm이다. 바깥면은 엷은 갈색-적갈색을 나타내고 확대경
으로 보면 한쪽에 몇 줄의 세로홈이 있고 아래끝에 제점과 갈색을 나타내는 둥근 돌기와 그물 무늬가 있다.
횡단면은 황백색-황색의 배아가 있고 기름기가 있다.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조금 맵다.
2.生態 및 特徵
내복자(萊菔子)는 무 의 잘 익은 씨이다. 나복자(蘿菔子)라고도 한다.
씨로 난원형 또는 타원형에 가까우며, 약간 납작하고 길이 0.25~0.4cm, 너비 0.2~0.3cm이다.
바깥 면은 황갈색, 적갈색, 회갈색 이며 한 쪽 끝에는 진한 갈색의 둥근 배꼽점이 있고 다른 쪽에는 여러 줄의 세로홈이 있다. 씨껍질은 얇고 잘 부스러진다.
떡잎은 2개이고 황백색이며 기름기가 있다.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담담하며 약간 쓰고 맵다.
7.性味, 歸經, 主治
1)性味
무독(無毒), 신(辛), 감(甘), 평(平)
2)歸經
비(脾), 위(胃), 폐(肺)
3)主治
◈식적기체(食積氣滯) : 식적으로 인한 기체
◈하리후중(下痢後重) : 하리(下痢)후에 뒤가 묵직한 것
◈해수담천(咳嗽痰喘) : 기침과 담천을 아울러 이르는 말
◈흉민복창(胸悶腹脹) :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창만한 증상
8.效能
진해, 거담, 창만(배가 많이 불러오며 그득함), 트림, 위산과다, 평천(숨이 참)작용, 소염, 항균, 소화불량, 설사, 변비, 해수(기침), 천식, 혈압강하 작용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1)도체(導滯) :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임.
2)발창진(發瘡疹) : 창진(瘡疹)을 체표로 빨리 드러나게 하는 효능임
3)소식화담(消食化痰) : 음식을 소화시키고 담(痰)을 제거하는 효능임
4)소종독(消腫毒) : 헌데나 부스럼을 없애는 효능임
5)이대소변(利大小便) :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6)제비(除痞) : 비(痞)를 제거하는 효능임
7)제창(除脹) : 배가 불러오르는 창(脹)을 제거하는 효능임
8)지통(止痛) :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9)하기정천(下氣定喘) : 기운을 아래로 내려 기침을 멎게 하는 효능임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삼의 효능, 효과 (0) | 2020.04.03 |
---|---|
당귀의 효능, 효과 (0) | 2020.04.03 |
길경의 효능, 효과 (0) | 2020.04.02 |
금은화의 효능 및 효과 (0) | 2020.04.02 |
구기자 효능, 효과 (0) | 2020.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