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내필모잡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34)
화제 뉴스 (2)
약초 (29)
화학성분 (0)
기타성분 (1)
양약 (1)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4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하고초 #하고초의 효능 #하고초의 효과 #하고초 효능 #하고초 효과'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0.05.12 하고초의 효능 효과

하고초의 효능 효과

약초 / 2020. 5. 12. 07:21

하고초(夏枯草) Prunellae Spica

 

 

기원: 꿀풀 P runella vulgaris L. var. lilacina Nakai (꿀풀과 Labiatae)의 꽃대이다. 대 구지방에서는 제비꿀 Thesium chinensis Turcz.의 전초를 토하고초라고 하며, 하고초의 대용으로 쓴다.

 

약리:

1. 항염증작용: - 34 - - 하고초 ethanol 추출물과 단리화합물인 Rosmarininc acid의 경우에는 Cox-2 효 소와 iNO synthase에 대해서 억제작용이 있으나 강한 억제능은 보이지 않아서 그 효 과가 유의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 하고초 추출물 및 2a,3a-dihyroxyurs-12en-28oic acid, 2a,3a,19-trihydroxyurs12,20(30)-dien-28oic acid, 2a,3a,19a,23-tetrahydroxyurs-12en-28 oic acid, (12R, 13S)-2α,3α,24-trihydroxy-12,13-cyclo-taraxer-14-en-28oic acid, Quercertin 3-O-α -D-glucopyranoside, Kaempferol-3-O-α-L-rhamnopyranosyl(1->6)-β -D-glucopyranoside, Quercetin-3-O-α-Lrhamnopyranosyl(1->6)-β -D-glucopyranoside의 NO 생산과 NF-kB-SEAP 염증매개인자 에 대한 항염증활성을 실험하였으나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하고초 각 성분은 염증에 대해서 숙주세포에 따라서 그 반응능이 상충되기도 한데, 이는 세포내 독성에 따라 그 차이점이 생길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2. 혈관계 항염증억제효과 - 혈관계 항염증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Interleukin-8 생성 억제효과를 검색하였는데, 유의적 생리활성물질로 선택할 수 없었다. 하고초에 존재하는 각 성분들 의 염증반응에 관련된 다양한 숙주세포들에 대해서 다양한 반응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 로 유추된다.

 

3. 기억력 손상 회복효과 및 항 불안효과 - 하고초 성분의 기억력 손상 회복효과 및 항 불안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는 Rosmarinic acid, Oleanolic acid, Ursolic acid 3종류의 단리성분은 수동회피시험에서 세 성분 모두가 scopolamine으로 유도된 기억력 손상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없었으며, 세 성분 모두가 항 불안 효과는 없는 것으로 검색되었다.

 

4. 항암효과 - 하고초에 P runella vulgaris polysaccharide-zinc complex (P1-Zn )는 HepG2에 대해서 증식억제 활성과 세포사멸을 유도하였다. P1-Zn의 항 증식 효과는 주로 세포 사멸의 초기단계에서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P1-Zn - 35 - 이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의 감소를 통해 인 HepG2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 하고초유래 polysaccharide는 apoptosis를 유발함으로써 유방암관련 섬유아세포의 생존을 억제시키고, 유방암관련 섬유아세포의 침윤성을 억제하였다. - 하고초 ethanol 추출물과 water 분획물은 p53, Bax과 Fas 발현을 상당히 증가시 켰다.

 

5. 바이러스의 억제효과 - 하고초 추출물은 자이르 에볼라 바이러스 (eGFP는-ZEBOV)감염을 차단시켰다. 하고초 추출물은 12.5 mg/mL 농도에서 EBOV-GP-V 및 eGFP는-EBOV감염의 80% 이상 억제하였고, EBOV-GP-Vs와 viral events에 직접적으로 blocking함으로써 anti-EBOV activity을 향상시켰다.

 

6. 간섬유화 억제 - 하고초 추출물은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type III precollagen, hyaluronic acid의 높은 혈중 농도를 감소시키고, 또한 간병변의 발병률 및 섬유 격막의 형성을 감소 시켰으며, inflammatory cytokines,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interleukin-4, interleukin-8, 및 tumor necrosis factor alpha 또한 감소시켰다. 하고초 추출물은 간성상세포의 활성을 억제시켰다. 또한 miR-34a and miR-199a-5p을 감소시켰다.

 

응용: 눈이 붉고 아픈 데, 어지럼증, 두통, 갑상선염증, 임파선염, 결핵성경부림프선염 둥에 쓴다. 중국에서는 결막염에 향부자와 같이 사용하며, 임파선종에는 향부자, 패모, 원지 등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목 명: 통화식물목 한 글 꿀풀

 

과 명: 꿀풀과 한 자 夏枯草

 

향 명: 꿀방망이,가지골나물,가지래기꽃,모꽃(제주)

 

학 명: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영 문: Asian selfheal, Heal all

 

하고초(꿀풀)는 주로 림프선에 멍울이 생기거나 가슴에 멍울이 만져지는 증상에 응용되는데, 갑상선이 비대해지거나 고혈압 여성의 유선이 증가되어서 생긴는 것을 치료하며 눈이 빨개지고 통증이 있으며 밤만 되면 아픈 증상에 응용된다. 오한과 신열, 머리에 헌 데가 있는 증상을 치료한다. 간염이나 임파선질환에도 사용된다.

 

 

 

중국에서 펴낸 <중약대사전>에서 하고초의 효능만 간추리면 아래와 같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독이 없다. 간과 담경으로 들어간다. 간기를 맑게하고 울결을 풀어준다. 나력, 영류, 급성 유선염, 유암, 밤에 일어 나는 안구의 동통, 빛을 보기 어렵고 눈물이 나는 증상, 두목의 현기증, 구안와사, 관절통과 근육통, 객혈, 혈붕, 대하를 치료한다. 혈압을 낮추는 작용, 항균 작용, 자궁수축작용, 폐결핵의 치료, 삼출성 흉막염의 치료, 세균성 이질의 치료, 급성 황달형 전염성 간염의 치료 등에 사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이나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에 주의한다.

 

 

 

구안와사의 치료에 대하여 <전남본초>에서는 {하고초 3.75그램, 담남성 1.9그램, 방풍 35그램, 조구등 3.75그램을 달여서 물과 술에 타서 취침 전에 복용한다.} 라고 기록하고 있다. 하고초의 전초를 증류하여 얻은 방향수는 나력, 서루, 목통, 빛을 두려워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급성 편도선염, 인후 동통의 치료에는 신선한 하고초의 전초를 80~120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타박상이나 칼 따위에 베인 상처의 치료에는 짓찧은 하고초로 환부를 덮는다. 일반적으로 꿀풀 건조한 것을 8~2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 졸여서 고제로 하거나 환을 지어 먹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시에는 달인 물로 씻거나 찧어서 바른다.”

 

 

 

안덕균씨가 지은 <한국본초도감>에서는 꿀풀에 대하여 이렇게 적고 있다.

 

"하고초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인 꿀풀, 두메꿀풀, 흰꿀풀의 지상부이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청간화, 산울결, 강혈압의 효능이 있어 간담에 화가 울체된 것을 다스리므로 간화로 인하여 눈이 충혈되고 아프면서 눈물이 나고 햇빛을 볼 수 없는 증상과 두통, 어지럼증에 유효하다. 결핵성림프선염, 종기의 초기에 단방이나 현삼, 모려등을 배합해서 치료한다. 신경성 고혈압의 혈압을 내리는 데 단방 또는 두충, 조구등을 배합해서 치료하면 효능이 뛰어나다.

 

 

 

약리실험에서 물과 알코올 추출액은 혈압을 내리고, 달인 물은 혈관 확장 작용을 보인다. 조기 염증 반응에 현저한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토끼의 염증 반응을 억제하며, 비특이성 면역 기능 이외에 특이성 면역 기능에 강한 억제 효과를 보인다. 달인 물은 복수암과 육아육종에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 보고에서 고혈압에 유효성을 나타낸다.

 

 

 

1, 꿀풀 하고초(夏枯草)을 이용하는 법과 주의할 점

 

말린 약재를 1회에 3~6g씩 200cc의 물로 달이거나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유선염과 종양에는 생풀을 짓찧어서 붙이고 안질은 달인 물로 환부를 씻어낸다. “꿀풀에서 분리한 트리테르펜 성분은 항알레르기, 항염증 활성을 갖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꿀풀은 꽃잎은 달지만 풀 전체는 쓰고 맛이 맵고 성질이 차서 비위가 약한 사람과 몸이 찬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

 

 

 

사상의학에서는 꿀풀을 소양인에게 좋은 약재로 분류하고 있으며, 소화력이 약해서 식욕이 없거나 설사를 자주 하는 소음인 체질의 사람이나 장이 약하고 설사를 자주 하는 태음인 체질인 사람은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2, 약리

꿀풀에는 약효가 있어 급성황달형 간염에 복용하면 황달이 없어지고 간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된다. 또, 안과질환에도 이용되고 두통과 유방염·결핵성 임파선염 및 간기능 장애로 인한 고혈압에도 효과가 있으며, 흉막염이나 폐결핵에도 치료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간을 맑게 해주며 이뇨, 소염, 소종 등의 효능이 있다. 적용질환은 전염성간염, 폐결핵, 임파선염, 수종, 유선염, 임질,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세, 고혈압 등이다. 그밖에 악성종양이나 눈이 붉게 부어 통증이 있는 증세 등에도 쓰인다.

 

3. 효능 

① 간담에 화가 울체된 것을 다스리므로 간화로 인하여 눈이 충혈되고 아프면서 눈물이 나고

     햇빛을 볼 수없는 증상과 두통, 어지럼증에 유효하다.

②결핵성림프선염, 종기의 초기에 단방이나 현삼, 모려, 등을 배합해서 치료한다.

③신경성 고혈압의 혈압을 내리는데 단방 또는 두충등을 배합해서 치료하면 효능이 뛰어나다.

④한방과 민간에서 전초, 화수 (花穗) 과수 (果穗)를 강장, 고혈압, 자궁염, 이뇨, 해열, 안질,

   갑상선종, 임질, 나력, 두창, 연주창 등에 약재로 쓴다.

 

 

 

 

Posted by 내필모잡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