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내필모잡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34)
화제 뉴스 (2)
약초 (29)
화학성분 (0)
기타성분 (1)
양약 (1)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감초의 효능 효과

약초 / 2020. 3. 31. 23:18

뿌리를 채취하여 한약재, 감미료 등으로 사용한다. 감초 안에 들어 있는 약용 성분은 다수의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약방에 감초'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 옛날 이야기에는 약방의 아내가 병자에게 멋모르고 감초를 줬는데 신기하게도 병이 나았다고 한다. 플라시보 효과일수도 있겠으나 어지간한 병에도 효과가 있다는 뜻.

감초의 뿌리는 옆으로 뻗는 것과, 밑으로 뻗는 것이 있는데 이중 밑으로 뻗는 것을 약재로 사용하고, 옆으로 뻗는 것은 가을에 채취하여 봄 등에 심는다.

약재로서의 직접적인 효능은 위장 보호 및 독성 중화. 특히 다른 약재의 독을중화하고 효능을 완화시켜 효능이 적절히 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또한 맛이 달아 탕약의 역한 맛을 줄이는 역할도 한다. 그러므로 한방에서 약재 처방을 할 때 비교적 자주 들어간다. 약방의 감초라는 속담은 이것을 비유한 것으로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꼭 끼어야 하는 것, 또는 어떤 일에나 빠짐없이 끼어드는 사람을 가리킬때도 쓰이며 그냥 '감초'라고만 하기도 한다. 한의학에서는 감초가 끌어당기는 성질을 갖고 있다고 본다. 그래서 서로 다른 재료들을 융합해서 시너지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한약을 만들 때마다 감초를 넣는다고 한다.

 

 

감초는 청열해독(淸熱解毒), 윤폐지해(潤肺止咳), 보비익기(補脾益氣), 조화제약(調和 諸藥)의 효능이 있다. 즉, 화중완급(和中緩急) 윤폐(潤肺)하고 해독하며 모든 약을 조 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구워 쓰면 비위허약, 식욕 부진, 복통에 의한 변당(便溏), 노권 (勞倦)에 의한 발열, 폐결핵에 의한 해수, 심계 항진을 치료한다. 생것을 쓰면 목구멍 이 붓고 아픈 증세, 소화성 궤양을 치료하며 약물중독, 식중독을 해독 한다.

 

(1) 항염증 효과

감초의 항류마티스작용과 COX-2 및 5-LOX 저해작용이 보고되었다. 감초의 성분으 로는 glycyrrhizin의 항염증작용이 보고되었으며, isoliquiritigenin의 COX-2와 iNOS의 발현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이외에 18β-glycyrrhetinic acid의 iNOS 발현억제능이 보고되었다. 한편, licoricidin은 Helicobacter pylori의 in vitro 성장을 저해하고, antibacterial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penicillin-binding protein 2 (PBP2')의 형성 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PBP2 의 효소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고하였다. Licoricidin은 adenosine 3',5'-cyclic monophosphate (cAMP) phosphodiesterase에 대 한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LysoPAF (platelet-activating factor) acetyltransferase에 대한 강한 저해작용을 나타내었으며, Streptococcus pyogenes, Haemophilus influenzae 및 Moraxella catarrhalis에 대한 강한 미생물억제작용을 나 타내었다고 보고되었다. 감초에서 유래한 총 9종의 화합물 중 glycyrol이 가장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었고, glycocoumarine과 isoliquiritigenin-2-O-methylether도 항 염증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와 문헌의 고찰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항염증 지표성분으로는 전통적인 glycyrrhizin과 새로운 성분으로 glycyrol을 제시한다.

 

(2) 항알러지 효과

감초 함유성분 중 in vitro 가장 강한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낸 것은 glycyrol, glycucocurmarin, 18β-glycyrrhetinic acid과 liquiritigenin이였으며, in vivo 가장 강한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낸 것은 glycyrrhizin, 18β-glycyrrhetinic acid과 liquiritigenin이 였다. 한편 glycyrrhizin은 경구투여 되었을 때 18β-glycyrrhetinic acid으로 대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감초의 함유 성분인 glycyrrhizin 에 대해서는 항염증을 비 롯하여 아낙필락시스 등을 억제하는 항알러지 효과가 알려져있다. 그 외에 liquiritigenin의 항알러지 효과 연구는 없었지만 항염증 효과가 있다는 연구는 계속되 어왔다. 그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감초의 항알러지의 효과는 glycyrrhizin, 18β -glycyrrhetinic acid과 liquiritigenin에 의한 효과로 생각된다.

 

(3) 면역 및 항진균효과

감초에서 분리된 glycycoumarine, glycyrol, isoliquiritigen, 18β-glycyrrhetinic acid (18β-GA)는 ConA에 의한 T-cell의 증식억제효과가 있으며, glycycoumarin과 glycyrol의 항캔디다효과는 기존의 항진균제인 fluconazole에 비견되는 효과가 in vitro와 in vivo (동물모델) 조건하에서 검색되었고. C. albicans 균사생성 억제가 작 용기전으로 추정된다. glycyrol의 항세균효과는 이미 보고된 바 있으나, 항진균작용은 아직 보고된 바가 없고 glycycoumarine의 항균효과에 관한보고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런 측 면에서, glycycoumarin과 glycyrol은 감초의 항진균성분으로서 지표성분 가능성이 제 시된다. 한편 직접적으로 C. albicans 에 대해 감수성은 없지만, IgG isotyping 결과 Th1 type 면역반응을 유도하고 macrophage 활성 시 NO를 생성을 유도하는 liquiritgenin는 전신성 캔디다증에 항진균효과가 있었다. Th2 면역반응 선호하는 C. albicans에 반대하는 Th1 면역반응유도성과 macrophage 활성에 의한 탐식작용을 고 려 할 때, 이 결과는 매우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현재 본 연구의 기 초실험에서, 감초의 지표물질인 glycyrrhizin의 비당부인 18β-GA 효과도 liquiritigenin과 거의 유사하므로, 감초의 면역강화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성분으로 liquiritigenin을 새로운 지표물질로 제시한다.

 

(4) 간보호 및 간경화 억제 효능

생체 외 간세포 독성에 대한 감초 유래 성분들의 활성을 검색한 결과, glycyrrhizinin, glycyrrhizinic acid 및 liquiritigenin이 우수한 간세포 보호 활성을 나 타내었으며, 이 중 glycyrrhizin이 CCl4로 유도된 급성 간독성 동물 실험에서 우수한 간 보호 작용을 나타내었다. Glycyrrhizinin은 간경화 억제활성 생체외 실험결과 TAA에 의한 간세포 사멸을 억제, 간성상 세포의 활성화 억제에 우수한 활성을 나타 내었다. 현재 간경화 동물 모델을 이용한 동물 실험이 진행중이다.

 

(5) 위염 및 위궤양 억제 효능

Glycyrrhizinic acid, carbenoxolone이 H.pylori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그중 carbenoxolone이 HCl․ethanol로 유도된 위염에 대한 동물 실험에서 위손상을 현 저히 개선시켰다. Glycyrrhizin은 기초적(생리적) 뮤신유리를 증가시켰으나, ATP에 의해 자극된 뮤신유리에 대해서는 ATP에 의한 증가 정도와 상관없이 자체의 분비증 가 활성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carbenoxolone과 prunetin은 ATP에 의해 자극된 뮤 신유리를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이산화황 유발 동물모델에 대해서는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Carbenoxolone은 합성화합물이므로 지표 선정에서 제외하였 다

 

출처 : 식약처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황의 효능 효과  (0) 2020.03.31
결명자의 효능 효과  (0) 2020.03.31
갈근의 효능  (0) 2020.03.31
생약이란 무엇인가?  (0) 2020.03.31
엉겅퀴 효능, 부작용  (0) 2020.03.29
Posted by 내필모잡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