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부자의 효능 효과, 효능과 효과
향부자(香附子) Cyperi Rhizoma
표준분획제조법에 따라서 각 약재의 methanol 추출물을 CH2Cl2, EtOAc, n-BuOH 의 순으로 순차 분획화하고 각 분획물에 대하여 각종 chromatography 법으로 총 26종 의 성분을 분리해 내었다. 향부자 생리활성성분의 모니터링 연구로 α-cyperone과 nootkatone을 지표물질로 사용하였으나 함량기준을 향부자의 지표성분인 α-cyperone만 으로 0.09% 이상 함유로 설정하였다. 향부자의 기원식물인 Cyperus rotundus의 종의 실체 및 분류학적 확인을 위하여 엽록체 게놈에 포함되어 있는 matK 유전자가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는 향부자는 본 연구에서 분석된 시료에 한 하여 모두 정확한 약재인 것이 판명되었다. 종종 향부자는 식초에 절인 후 볶는 포제 과정에서 상당한 DNA가 파괴될 수 있으므로, 분자생물학적 감별은 상당한 제약이 있 다. 개발한 분석법으로 패턴분석한 결과 향부자는 한국산과 중국산의 구별이 되지 않 았고, nootkatone은 검출되지 않았다. 향부자의 효능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nootkatone, valencene, ellagic acid 를 1차적으로 선택하였는데 이 중에서 nootkatone, valencene은 특히 TNF-a 에 의한 동맥내피세포에서 VCAM-1의 발현에 우수한 효능을 보여주었 다. 심장의 허혈/재관류 손상 흰쥐 모델쥐에 10mg/kg 투여는 손상된 심근경색을 유의 하게 줄였으며 심장기능을 정상에 가깝게 회복시켰다. 한편 nootkatone 및 valencen은 대식세포 에서 HO-1을 발현하여 LPS에 의한 iNOS를 억제하여 항염효과 뿐 아니라 HO-1의 발현을 통한 심장의 산화적 손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ellagic acid는 HO-1 발현을 증가 시키지는 않았으나 문헌을 통해 볼 때 항산화, 항염 및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항골다공증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 다. 한편 carophyllene oxide도 문헌을 통하여 보면 심장에 칼슘통로와 포타슘 통로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어 고혈압등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으며 HO-1을 약하게 발현하므로 지표성분으로 고려해 볼 가치가 있다. 현재의 대한약전 분석법 혹은 중국 약전 분석법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우수한 분석법을 개발하였으며, 모니터링 연구를 통 하여 생리활성성분의 함량을 합리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연구결과가 대한약전 개정 에 반영되었다. 중국약전에 정유성분 0.8%이상으로 되어 있으며, 일본약전에는 설정되 어 있지 않았다. nootkatone, α-cyperone를 지표물질로 사용하여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향부자의 분석법은 α-cyperone을 지표물질로 안정하게 분석이 가능하여 분석법을 설 정하였다. 개발한 분석법으로 패턴분석한 결과 중국산 향부자와 국산 향부자는 - 25 - nootkatone의 함량에 차이가 있었다. 일본약전이나 중국약전에는 향부자 정량법이 수 재되어 있지 않았으며 효율적으로 간단한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향부자는 옛부터 중국 인도 등지에서 부인병의 선약(仙藥)으로 일컬어
져 온 약재로 통경, 정혈, 신경안정, 체력강화, 만성 위기능 쇠약, 신경성
소화불량, 식욕 감퇴 등에 특효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어 왔다. 특히 여성
의 월경을 순조롭게 하는데 향부자는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
지고 있다.
향부자는 작두향(雀頭香)이라고 하는데 중국 상고시대 강표전에 따르면 중국 위나라 문제(文帝)가 사신을 시켜 오나라 임금에게 불로장수하라며 향부자를 보냈는데 사신이 향부자 이름을 잊어버리고 생김새가 참새머리 처럼 생기고 향기롭다고 하여 임기응변으로 작두향(雀頭香)이라고 전한후부터 작두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향부자는 사초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바닷가와 저지대 풀밭의 양지쪽에 잘 자란다. 줄기뿌리는 잔수염뿌리가 많이 달렸고 땅속에서 옆으로 뻗어가는데 끝에 둥근 덩이뿌리(괴경)가 생기고 살은 백색에 향기가 대단히 좋다.
잎은 땅속의 괴경에서 모여나고 길이가 10~15㎝, 너비가 4㎜정도의 좁은끈 모양으로 밑에 이는 잎이 줄기를 둘러싸고 있다. 질은 조금 단단하고 표면은 광택이 있는 진녹색이다. 7~9월경에 잎무더기 속에서 높이가 10~30㎝정도 되는 한 개의 꽃줄기가 나와 그 끝에 좁은 끈 모양의 총포엽을 두세개 달고 한 곳에서는 3~4개의 짧은 꽃대를 내어 7~8개의 진다갈색을 띤 꽃이삭을 피운다. 꽃은 양성화로 수술은 2개, 꽃밥은 담황색이다.
땅속에 있는 괴경을 파서 말린 것을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향부자의 덩이줄기에는 사이펠린, 사이펠롤, 이소사이페롤, 수게놀, 코부손, 지방산이 많이 들어있다. 맛은 약간 시면서 쓰고 달다.
약리작용으로는 진통, 자궁근육을 이완시키는 작용이 있다. 한방에서는생리불순, 생리통, 히스테리증상 갱년기 장애 등에 처방되는 부인병의 요약이다. 또 남녀를 불문하고 만성위염, 십이지궤양, 상복부통, 식욕부진, 구역증 등의 증상에도 널리 쓰이는데 월경과다증에 써서는 안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임상에서는 여성월경의 부조를 다스리는 대표적인 처방인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도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향부자를 주재료로 하여 처방한 것이다. 그리고 여성의 임신을 촉진시키는 옥약계영환(玉藥啓榮丸)도 향부자가 주재료로 되어 있다. 여성의 경우 사소한 일에도 심장의 박동이 심하여 정신적으로 불안하고 놀라기를 잘할 때 처방하는 온담탕(溫膽湯)도 역시 향부자를 잘 활용한 것이다.
일부 한의사들은 칠제향부환과 옥약계영환 등을 응용하여 향부자, 당귀,천궁 등 20여종의 약재를 넣은 「향부자탕」으로 부인병 치료에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향부자를 임신 촉진을 위해 사용할 때에는 열살이 안된 남자 아이의 오줌에 담갔다가 말려 써야 약효가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는 남자 아이가 열살이 되기 전에는 정기가 콩팥으로 통하지 못하고 배설되는데 여기에 향부자를 담그면 아기의 정력과 정기가 흡수되고 수분이건조되면 정력이 합해져 이것을 여성이 오래 먹으면 자궁에 남아의 정력이들어가 정기가 왕성하게 되므로 남편의 정력이 부족해도 아기를 잉태할 수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아무튼 이 약재는 약효는 실로 우수하지만 월경조절용(조경제)으로 사용할 때에는 하루 저녁쯤 쌀뜨물에 담갔다가 말린 후 볶아서 쓰는 것이 좋다. 건위제로 활용할 때에는 그냥 볶아서 사용하면 된다.
민간요법으로는 각종 종기에 생잎을 짓이겨 환부에 붙이면 종기의 독을말끔히 빨아내어 빨리 낫게 하고 가슴이 답답하거나 피부소양증에 지상부의 전초를 달여서 마시면 효험이 있다고 전해진다.
집에서 향부자를 물에 넣고 1시간 남짓 달여서 하루에 3회정도 나누어 복용하거나 전골요리에 향부자를 약간 넣어 먹어도 효험을 볼 수 있다.
취재팀=허승도차장 박승훈 조윤제 이학수 이정훈기자
도움말= 성환길 경남생약연구소장.약학박사
한방에서 본 향부자
향부자는 사초과에 속한 향부자의 뿌리줄기이다. 성미는 맵고 약간 쓰며, 달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작용하는 장기는 간장이다.
그 효능을 보면 기(氣)의 흐름을 조절하여 울체된 것을 풀어주는 이기해울(理氣解鬱)작용과 부인의 월경을 조절하여 통증을 없애주는 조경지통(調經止痛)작용이 있다.
향부자는 기(氣)를 다스려 울체된 기(氣)를 푸는 요약으로 간장의 기가 울체되어 생기는 정신불쾌감, 현대인의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어 생기는소화불량, 협늑부 동통, 복창통, 가슴부위의 답답함, 신물이 넘어오는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임상에서는 흔히 향부자와 함께 시호, 지각, 진피, 목향 등의 약물과 함께 배합하여 사용하는데, 기의 울체를 풀고자 할 때는 향부자를 주약(主藥)으로 사용하여 창출, 천궁, 치자 신곡 등의 약물을 배합하고, 한기(寒氣)와 기(氣)가 함께 원인이 되어 울체되었을 때는 고량강과 향부자를 함께 배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우울증을 해소시키므로 일체의 정신신경성 질환에 널리 이용된다.부인과의 선약(仙藥)이라 하여 스트레스 등에 의한 월경불순과 월경통,자궁출혈, 산후복통 등의 통증을 완하시키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한습(寒濕)을 제거하는 효능도 가지므로 여름철의 토사곽란 및 습각기에도 활용된다. 향부자에 당귀와 애엽을 배합하면 월경불순, 생리통 등의 증상에 조경(調經)작용과 지통 작용이 배가(倍加)되며, 목향과 오약을 배합하면 기순환을 순조롭게하여 통증을 다스린다.
임상에 향부자를 소금, 식초, 술, 동변(童便)에 수치(修治)하여 환을 만들어서 복용하면 부인 월경불순을 다스린다 하였다.
약리를 보면 자궁 억제작용을 나타내며, 항염증, 진통작용 및 일정한 해열작용과 중추신경 억제작용이 있다. 강심작용과 혈압강하작용이 있으며,이질균과 피부진균에도 억제효과를 나타낸다.
/김종국 거제 미래한의원 원장/
`양귀비술`담그는 법
당나라 현종 황제의 비인 절세미인 양귀비가 미용과 보건을 위해 밤낮으로 애용했다고 전해지는 「양귀비술」이 있다.
이 술은 부인병에 좋다는 향부자를 비롯하여 당귀, 작약, 목단피, 치자등과 같은 생약이 들어가 혈액순환 장애를 개선하여 부인병을 없애고, 피를 늘려 혈색을 좋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긴장을 풀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건강과 미용에 매우 효험이 있는 술로 전해지고 있다.
▲재료: 향부자 15g, 당귀 15g, 작약 8g, 목단피7g, 적복 8g, 용안 15g, 홍화 10g, 치자 5g, 박하잎 5g, 시호 5g, 국화 5g, 대추 10g, 소주 1000㎖, 설탕 150g, 벌꿀 80g
▲담그는 법:
1. 홍화와 국화는 그대로 사용하고 다른 생약은 잘게 썰어 용기에 넣고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2. 처음 4~5일은 하루 한차례씩 가볍게 흔들어 준다.
3. 10일 후에 마개를 열어 술을 천으로 거른다. 액은 다시 용기에 붓고설탕과 벌꿀을 넣어 잘 저어 녹인다.
4. 여기에 생약 찌꺼기 1/5을 다시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5. 한달이 지나면 개봉하여 윗부분의 맑은 액만 따라 내고 나머지 액은 천이나 여과지로 걸려 앞의 것과 합친다.
▲마시는 법: 하루에 2~3회씩 식전 또는 식사중에 한번에 20㎖씩 마신다
▲효능: 생리불순, 혈색불량, 빈혈, 미용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금의 효과 황금의 효능 황금 효능효과, 황금 성분 (0) | 2020.05.14 |
---|---|
현삼의 효능과 효과 현삼효과 현삼효능 (0) | 2020.05.13 |
해동피의 효능, 효과 해동피효능 해동피효과 (0) | 2020.05.12 |
하수오의 효능 효과 효능과 효과 하수오 (1) | 2020.05.12 |
하고초의 효능 효과 (0) | 2020.05.12 |